cushion.kr [인디나를 가다]2부 치솟는 용, china(중국) ④新차이나 리스크 > cushion3 | cushion.kr report

[인디나를 가다]2부 치솟는 용, china(중국) ④新차이나 리스크 > cushion3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cushion3

[인디나를 가다]2부 치솟는 용, china(중국) ④新차이나 리스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8 02:43

본문




Download : 20070418.jpg





 장강 삼각주의 한축을 차지하고 있는 640만 인구의 난징에는 9개 경제 개발구가 자리잡고 있다 대학만 20개 이상이고 200개 이상의 첨단기업이 들어와 있다는 이곳에서 LG필립스LCD는 해마다1개 동씩 생산라인을 늘리고 있다 2003년 공장을 준공하고 LCD 양산에 들어가 성장세를 달려 온 이 회사도 최근 임금상승세는 회사를 부담스럽게 하고 있다
 최근 전국인민대회 상무위원회에 제출돼 심의받은 기업 소득세(법인세) 초안은 China 내·외자 기업의 소득세율을 25%로 통일 시켰다.

list_blank.png list_blank_.png list_blank_.png list_blank_.png list_blank_.png
 그야말로 새로운 차이나리스크가 등장한 셈이다.
 생산 2년간 임금에 관한 한 거의 부담이 없었기 때문. 하지만 지난 2년 동안은 해마다 5%의 임금을 올려줬다. China정부의 중점 육성 아이템에 대상으로하여 특별한 세제혜택을 계속 유지키로 했기 때문이다.
 흥미로운 것은 China정부의 중점 육성 아이템은 특별한 세제 혜택을 계속 유지한다는 점이다. 해마다 mean or average(평균) 8∼9%의 성장세를 보인 China 경제에 발맞춰 China정부가 외국투자 기업들에 일정 부분 임금인상을 강조하고 있기 때문이다.
 둘째, 그동안 소극적이었던 임금인상에 대해 China정부가 최저임금제도 개편 등을 통해 적극적인 임금인상을 유도하고 있다 표 참조
 셋째, 사회보장과 관련해서는 지역 개별기업 등의 속성 을 인정해 왔으나 이제는 예외없는 제도적용 등 전면시행 쪽으로 change(변화)되고 있다

다.
 난징지역은 선전에 이어 최저임금이 가장 높게 매겨진 지역으로 꼽힌다. China은 첨단기업 유치시 최첨단 기업에 대한 差別(차별) 적 우대방침을 통해 기술기업 유치 및 기술력 확보, 이를 통한 자국 경쟁력 확보의 속내를 드러냈다.
 여기에 최근 이슈화되고 있는 China정부의 법인세 감면 비율 축소 방침도 또다른 애로사항일 수밖에 없다.’


 2년 만에 China에 진출한 기업들은 이제 자국에서처럼 China에서도 임금상승세를 극복해야 하는 처리해야할문제를 안게 됐다. 이후 노동분야 규제 및 집행력이 강화되고 있다

 안후이성 우후시에 3D영상투영 및 부양기술 제조공장을 갖추고 있는 최경군 JKT 사장은 China정부의 이같은 방침에 대해 “China정부가 이제 웬만한 기술을 가진 기업들은 다 들어왔다고 보는 것 같다”며 “China기업들도 웬만한 경쟁력을 갖춰 외국기업들과 대적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드러낸 셈”이라고 말했다.”


◆China의 임금과 공회(노조) 

Download : 20070418.jpg( 29 )



 지난해 세계적 유통기업이자 본사에 노조가 없기로도 유명한 월마트의 베이징점포에 공회(노조)를 설립하도록 한 것은 China정부의 노동정책에 큰 획을 그은 것으로 평가된다.

 주중 한국 대사관에 따르면 지난 2006년 기준 최저임금기준, 즉 각 성 정부가 확보한 가이드라인은 성마다 차이가 있지만 월 450∼810위안(58500∼10만5300원)에 이른다. LPL같은 경우는 그래도 완충efficacy가 있다고 보지만 1차, 2차 협력업체들의 경쟁력이 약해질까 봐 걱정됩니다.

 장쑤성 정부가 최저 임금을 기업 규모별로 680∼750위안(88400∼97500원)으로 책정해 놓았기 때문이라는 게 그의 說明(설명) 이다.

 그동안 15%에 그쳤던 외국투자기업들의 소득세율을 향후 25%로 상향조정하며 China기업의소득세 35%는 25%로 하향조정해 내·외자 기업간 差別(차별) 을 두지 않는다는 방침이다.  전상윤 LG필립스LCD 난징법인장은 현지 진출기업의 최대 애로 사항 중 하나로 무엇보다도 가파른 임금상승세 및 China정부의 외자기업 우대정책 철폐 분위기를 꼽았다.
◆인터뷰-전상윤 LG필립스LCD 난징법인장
설명

 난징시 남쪽 외곽에 자리잡은 공항에서 50분. 남서쪽에서 동북쪽으로 흐르는 양쯔강 허리에 자리잡은 LG필립스LCD 난징공장의 이재홍 부장이 말하는 최근의 임금 상승세다.
 2년 전 비즈니스위크는 저가를 무기로 세계의 제조업을 위협하는 China을 일컬어 차이나리스크라 불렀다.
 당장 가장 큰 문제는 값싼 현지 노동력 조달의 이점이 사라지고 있다는 점이다. 내외자 기업간 법인세 差別(차별) 을 두지 않는다는 방침이다. 외국기업의 경우 2012년까지 이러한 비중을 맞춰가며 법인세 혜택을 줄인다는 얘기다.
순서
[인디나를 가다]2부 치솟는 용, china(중국) ④新차이나 리스크
레포트 > 기타
 최근 China 현지 진출기업들의 관심을 끄는 또다른 사안으로 최저임금제와 함께 노동정책을 꼽을 수 있다
 해마다 증가하는 임금문제와 관련해 그는 이렇게 말한다, “문제는 동반진출 기업입니다.
[인디나를 가다]2부 치솟는 용, 중국④新차이나 리스크

[인디나를 가다]2부 치솟는 용, 중국④新차이나 리스크

[인디나를 가다]2부 치솟는 용, china(중국) ④新차이나 리스크

 ◇법인세 규제=‘China이 지난 10여년간 적용해 온 내·외자 기업의 부동(不同)세율시대가 끝났다.”
China 현지진출 기업의 최대 애로사항은 무엇일까.
 전 법인장은 최근 China정부가 강화하고 있는 노동법은 항목 하나하나가 회사의 활동에 지대한 effect(영향) 을 미칠 정도로 중요해 온 신경을 곤두세우고 있다고 말했다.
 China 현지 진출기업들이 느끼는 임금·노무관리의 무게는 차이나 리스크를 더 크게 만들어주고 있다

 ◇임금 상승=“2004년까지는 이 지역에서도 임금인상 걱정을 거의 안했습니다. LG필립스LCD의 경우 LG화학은 물론이고 부품 공급 중소기업들과 동반 진출했기 때문에 이들에는 최저임금제 적용이 부담이 될 수 있습니다.
 2004년 China 공산당은 China전국인민대표회의시 조화로운 사회건설을 제기하면서 China정부는 선부론(先富論)에서 공부론(共富論)으로 국가정책 기조를 바꾸었다.

 그는 월간 최저 임금제에 따른 월 최저임금 750위안이 문제가 아니라고 말한다.
 외국기업의 경우 당장 그렇게 하겠다는 것이 아니라 매년 2%씩 올려 2012년까지 이러한 비중을 맞춘다는 얘기다.
 이제 웬만한 기술을 갖춘 외국 글로벌 기업의 생산공장은 모두 China 내에 유치했음을 선언하는 듯한 China정부의 시각이 고스란히 읽힌다.
 하지만 현지 진출기업들은 적어도 첨단 전자·IT분야에서의 법인세 혜택을 줄인다는 부분에 대상으로하여는 크게 걱정스럽지 않다는 분위기다. 하지만 2005년 2006년 2년 연속 5%의 성장세를 보였습니다.”
 최근 전국인민대회 상무위원회에 제출되어 첫번째 심의를 받은 기업 소득세법 초안은 China 내·외자 기업의 소득세 세율을 25%로 통일 시켰다. 여기에다 현재 China은 environment보호산업, 첨단기술 등의 산업 투자를 유도한다는 계획이다.
 게다가 China정부는 자국 진출 외국기업에 공회설립 압박의 강도를 높여갈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공회법에 의해 모든 기업에 공회를 설치토록 하고 있다
 China정부의 노동정책 change(변화)는 크게 세 가지로 알려져 있다
 첫째, China정부는 최근 노사관계에서 안정 및 갈등관리라는 방향으로 새로운 정책을 내세우고 있다 단체계약제도 실시, 노동계약법입법추진, 노동감찰강화 및 공회가 이를 적극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하는 방향으로 관철될 것으로 보인다.


 “복지후생비 등을 포함하면 1인당 최저임금은 2000위안이 넘게 듭니다.
전체 7,599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cushion.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