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shion.kr 근로기준법상 임금의 개념요소 > cushion7 | cushion.kr report

근로기준법상 임금의 개념요소 > cushion7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cushion7

근로기준법상 임금의 개념요소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16 10:36

본문




Download : 근로기준법상 임금의 개념요소.hwp






3. 판례의 태도
판례는 당사자의 계약의사를 중심으로 임금성 여부를 판단하고, 이것이 불분명한 경우에는 근로자의 지위에서 발생하는 생활보장적 임금은 없다고 하여 보충적으로 노동대가설의 입장을 취하고 있따

Ⅲ. 임금의 concept(개념)요소

1. 사용자가 근로자에게 지급하는 것
1) 지급주체
사용자가 근로자에게 지급하는 것이라야 임금이므로, 사용자가 부담하는 保險(보험) 료 및 근로자가 받는 保險(보험) 급여는 임금이 아니다. 그러나 근로자 부담의 保險(보험) 료나 근로소득세 등은 사용자가 원천징수를 한 것에 불과하므로 임금에 …(skip)





근로기준법상%20임금의%20개념요소_hwp_01.gif 근로기준법상%20임금의%20개념요소_hwp_02.gif 근로기준법상%20임금의%20개념요소_hwp_03.gif

근로기준법상 임금의 개념요소
레포트/법학행정
다.
2) 노동력대가설
이는 근로계약의 성질을 노동력의 처분권한을 사용자에게 부여하는 계약으로 파악하고 임금을 근로자의 노동력을 일정기간 사용자의 처분에 맡기는 것에 대한 대가로 보는 입장이다.

설명

근로기준법상 임금의 개념요소

순서


Download : 근로기준법상 임금의 개념요소.hwp( 54 )




근로기준법상 임금의 개념요소 , 근로기준법상 임금의 개념요소법학행정레포트 , 근로기준법상 임금 개념요소


근로기준법상,임금,개념요소,법학행정,레포트


임금의 concept(개념)요소에 관한 근기법상 검토

Ⅰ. 임금의 의의

1. 개요
근로기준법은 임금과 관련하여 임금의 의의, 임금지급방법, 임금수준의 보호, 임금채권의 보장 등의 규정을 두고 있따

2. 임금의 concept(개념)
근기법상 임금이란 사용자가 근로의 대가로 근로자에게 임금, 봉급 그 밖에 어떠한 명칭으로든지 지급하는 일체의 금품을 말한다. 이 견해에 의하면 대기시간은 근로시간에 포함되고, 휴업수당도 임금에 해당한다. 이 견해에 의하면 대기시간은 근로시간이 아니고, 휴업수당도 임금이 아니다.
3) 임금이분설
근로계약을 신분계약적 성질과 교환계약적 성질을 나누어, 임금을 근로자의 지위에 대한 대가로서 지급되는 부분과 구체적 근로에 대한 대가로서 지급되는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보는 견해이다. 이는 대기시간의 근로시간 포함여부, 휴업수당의 임금성 여부, 쟁의기간중 임금지급여부와 관련된다

2. 학설
1) 노동대가설
이는 근로계약을 임금과 근로의 등가적 교환계약으로 이해하고, 근로자가 현실적으로 제공한 근로에 대한대가가 임금이라고 하는 입장이다.

Ⅱ. 임금의 법적 성격

1. drawback(걸점)
임금의 법적 성격을 어떻게 보느냐에 관해 견해가 대립한다.
전체 7,814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cushion.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